혼인취소

혼인취소란 결혼의 성립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인신고가 된 경우 그 결혼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민법 제816조에 의거해 혼인취소소송을 통해 혼인취소를 주장하여 법률혼 관계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혼인 취소 사유

혼인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법원에 그 취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16조).

- 혼인 당사자가 만 18세가 되지 않은 경우
- 미성년자가 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혼인한 경우 또는 피성년후견인이 부모나 성년후견인의 동의를 받지 않고 혼인한 경우
- 6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6촌 이내의 혈족, 배우자의 4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인 인척이거나 이러한 인척이었던 사람이 혼인한 경우
- 6촌 이내의 양부모계(養父母系)의 혈족이었던 사람과 4촌 이내의 양부모계의 인척이었던 사람이 혼인한 경우
-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혼인을 한 경우
- 혼인 당시 당사자 일방에 부부생활을 계속할 수 없는 악질 기타 중대한 사유가 있음을 알지 못한 경우
- 사기 또는 강박으로 혼인을 한 경우

혼인취소소송 전 조정절차

혼인취소소송을 제기하려면 가정법원의 조정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소송의 제기 및 재판의 확정은 ①조정을 하지 않기로 하는 결정이 있거나 ②조정이 성립되지 않은 것으로 종결되거나 ③조정에 갈음하는 결정 등에 대해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조정신청을 한 때 소송이 제기된 것으로 보아, 조정절차가 종결되고 소송절차로 이행됩니다.

재판이 확정된 경우에 소송을 제기한 사람은 재판의 확정일부터 1개월 이내에 재판의 등본 및 확정증명서를 첨부해서 혼인취소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혼인취소 인정된다면

  • - 결혼관계의 해소(소급효의 불인정)
  • 혼인취소판결이 확정되면 결혼은 장래를 향해서 해소되며, 소급효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결혼 중에 출생한 자녀는 혼인 중의 출생자로서의 지위가 유지되며, 배우자 사이에 재산상속이 있은 후에 결혼이 취소되면 그 상속은 무효로 되지 않습니다.
  • - 손해배상의 청구
  • 당사자 일방의 과실로 결혼이 취소됐다면 상대방은 그에 대한 재산상·정신상의 손해를 배상할 것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 인척관계의 종료
  • 결혼이 취소되면 인척관계는 종료됩니다.
  • - 자녀에 대한 효과
  • ∙ 친권자의 선정 : 결혼이 취소되면 가정법원이 직권으로 친권자를 정합니다.
  • ∙ 양육책임 : 자녀에 대한 양육책임은 당사자가 협의해서 정하고,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협의를 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당사자의 청구 또는 직권으로 가정법원이 정하게 됩니다.
  • ∙ 면접교섭권 : 자녀를 직접 양육하지 않는 부모의 일방은 자녀에 대해 면접교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다만,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당사자의 청구 또는 직권으로 가정법원이 면접교섭권을 제한·배제·변경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구성원

현병희

최고총괄변호사

서울가정법원 판사 인천지방법원 판사 출신

박진우

수석변호사

이혼전문 변호사

이예섬

수석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가사전문변호사

김윤중

수석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이혼전문변호사

구성원 전체보기구성원 전체보기

상황별 전문변호사 TIP

이혼전문변호사의 다양한 법률 지식과 정보를 제공합니다.